Client(Mobile)

Flutter 개발 환경 세팅

swdream 2020. 6. 20. 17:49
반응형

먼저, 자세한 건 https://flutter-ko.dev/docs/get-started/install 를 참고 하자. 내 세팅은 공식 레퍼런스를 보며 막혔던 부분 위주로 정리한 것이다.

flutter SDK 환경 변수 경로 설정

  • 환경 변수 경로의 설정 이유?
    • 클라는 SDK 를 앱 구현을 위해 필요로 하므로 이 SDK 의 디렉토리를 환경변수에 담아 빌드 시 이를 참조하여 실행하게끔 해야 함

환경 변수 경로 설정 들어가기

'''bash
$ vi ~/.bash_profile ## 환경 변수 설정 들어가기
PATH="/Library/Frameworks/Python.framework/Versions/3.8/bin:${PATH}":$HOME/SDKs/flutter/bin
export PATH ## 기존에 python 프레임워크 path 가 경로로 추가되어있으니, 추가로 :$HOME/SDKs/flutter/bin
export PATH를 붙여줘서 multiple 경로 설정을 해준다. 저거를 해주고, :wq 로 변경사항 저장함.
$ source ~/.bash_profile ## 추가된 환경 변수 경로 소스 적용 커맨드

'''

위와 같이 flutter doctor 명령어는 flutter관련 하여 개발 셋팅 이슈를 진단해준다..(신기하다.)

여기 보니, Android toolchain, Xcode, android studio 등이 세팅이 안되어 있다고 나오니, 세팅해보자. 

 

  • Android toolchain?

    • 컴파일할 때 필요한 명령어들을 모아둔 파일 정도? 로 이해 하자. 주로 다른 컴퓨터 또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 도구들의 집합

 

우선 귀찮아서(당장은 필요가 없으니) Xcode 와 연결 디바이스를 제외하곤 세팅 완료함 

이후 vac 에서 cmd+shift+p (palette) 에서 flutter new project 선택 후, 프로젝트 이름을 만들어주면,  설정해둔 환경변수에 의해 flutter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main.dart가 심장부라고 할 수 있겠다.(메인함수가 콜되는)

 

 

 

디바이스 낫 커넥티드… 구동할 디바이스를 세팅하자.

Vsc의 pallette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 입력하면,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 세팅할 수 있는 가이드를 준다. 근데, 결국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함 

Flutter: Select Devices

 

Config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config > ADV manger를 들어가서 가상 디바이스를 하나 만들자. 

 

뭔지 잘 모르니 추천해주는거로 셀렉트!

 

여기서의 시스템 이미지란 안드로이드 앱을 구동시키기 위한 OS를 에뮬레이팅 해주는 파일이라고 생각하자. 

 

쉽게 쉽게 가자. 이름은 그대로 하고.

 

Well done. 

 

이후, 디버깅 모드에서 에뮬레이터 위에 데모앱을 띄울 수 있는데, 간혹 빌드 에러가 나기도 한다. 나같은 경우는 플러터 앱 내 build.gradle 파일의 dependency 의 버전 문제 때문에 빌드에러가 나서 에뮬 위에 데모앱이 실행이 안되었는데, 버젼을 적당히 낮게 변경하니 빌드 성공…!! 

gradle이란 일종의 빌드 배포 도구인데, 빌드에 사용할 sdk나 앱 버젼, 라이브러리 버젼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이 파일의 버젼을 일부 수정한 것이다. 

 

 

그러고, main.dart 파일 경로에서 Debug > Start Debugging 을 하면 데모앱이 실행된다..!

 

일단 띄웠음 

반응형